본문 바로가기

철학 에세이

화장실의 총성과 존재의 붕괴 – 윤리 없는 살인의 시대

반응형

📘 《비밀의 종말 – 존재가 해체되는 공간에서》 시리즈 2화

💥 무방비의 공간에서 울린 총성.  
그 킬러는 사람인가, 도구인가?

이번 편은 1화에서 다룬 ‘몰입의 상실’과 ‘씨감자의 은유’에 이어,  
동일한 공간(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윤리 없는 살해,  
즉 ‘존재 자체를 제거하는 행위’를 통해  
탈인간화된 현대의 폭력 구조와 신뢰 불가능한 인간형에 대해 통찰합니다.


무방비 상태에서 조용히 소음기를 장전하는 그림자
“일상적인 공간인 화장실 문 앞, 어둠 속 실루엣이 조용히 총을 꺼내드는 순간. 말없는 그림자 속에 숨겨진 극도의 긴장감.”

🔫 1. 그 장면에서 우리는 무엇을 보았는가

스파이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장면이다.
대변을 보고 있는 적국 스파이.
무방비 상태. 바지는 내려가 있고, 움직일 수 없다.
문 바깥에서는 조용히 소음기 장전.
탁. 한 발. 끝.
여성 킬러든, 남성 킬러든.
그 순간만큼은 인간이 인간을 죽인 게 아니다.
“도구가 기능을 수행했을 뿐”이다.
나는 그 장면에서 전율을 느낀다. 멋있어서가 아니라,
그 킬러는 더 이상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는 순간이기 때문에.


🧊 2. 윤리가 빠진 킬러는 '사람'이 아니다

총을 쏜 그 킬러는 어쩌면 이렇게 말할 수도 있다.

"나는 명령을 받았을 뿐이야."
"상대는 적이었어."
"기회였고, 효율적이었지."
"임무였어."

 
하지만 묻자.
그가 지금 죽인 건 ‘사람’이었는가?
아니면 그에겐 그냥 제거해야 할 대상, 일회용 오브젝트였는가?


존재를 지우는 시스템 – 씨감자가 깔린 화장실 타일 바닥
“빈 총구 옆, 타일 위에 흩어진 씨감자. 벽엔 흐릿하게 새겨진 ‘임무 완료’—존재는 사라지고 시스템만 남았다.”

⚠️ 3. 무방비 상태에서의 살해는 '존재 제거'다

화장실은 인간이 가장 취약하고, 방어적 본능조차 내려놓는 공간이다.
그곳에서 누군가를 공격한다는 건,
단지 죽이는 게 아니라,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행위다.
그건 “너는 존재할 자격이 없어”라는 말과 같다.
그리고 이 말은 킬러의 입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시스템과 자본과 무책임한 명령 체계에서부터 시작된 구조적 살해다.


🧠 4. 그 킬러는 신뢰할 수 없는 인간형이다

나는 말한다:

“나는 그를 쓰는 사람이라도, 그를 제거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언젠가 자기 상관도 돈 더 주는 사람에게 팔아버릴 인간이니까.”

 
정확하다.
그는 인간이 아니다.
스스로 판단하지 않고,
명분도 없고,
윤리도 없고,
감정도 없으며,
심지어 후회도 없다.
그는 이미 AI와 같은 구조로 작동하는 인간형이다.
그리고 이 인간형은 공동체를 파괴한다.
그 어떤 조직도, 공동체도, 국가도 신뢰 없는 자를 품고는 유지될 수 없다.


💣 5. 우리는 지금 어떤 인간형을 만들어내고 있는가?

현대 사회는 말한다:

  • "결과만 좋으면 돼."
  • "효율이 중요하지."
  • "조용히 처리하는 게 능력이지."
  • "정면 승부는 구식이야."

그 결과,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인간형을 만들어냈다:

🔫 실행자감정 없음, 판단 없음, 다만 명령에 반응함
🧊 탈인간화된 존재윤리 경계 없음, 침묵 속 살해 가능
🧨 무책임한 통제 대상언제든 상관도 배신 가능, 신뢰 불가
🧍 소비된 후 제거됨결국 “너도 쓸모 없으면 죽는다”는 시스템 구조

그는 단지 킬러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성과’와 ‘이익’을 기준으로 길러낸 결과물이다.


📜 6. 토사구팽은 정치가 아니다, 생존이다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죽인다”는 말은 단지 냉정한 정치 기술이 아니라,
윤리 없이 살해할 수 있는 자는, 언제든 자기도 살해할 수 있는 존재라는 경고다.

 
그는 위험하다.
사냥이 끝나면 가장 먼저 제거해야 할 1순위다.
왜냐하면 그는 인간이 아니기 때문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그는 인간으로 남기를 포기한 채
기계가 되고자 한 인간이다.


🧩 7. 1화와의 연결 – 씨감자를 먹은 자 vs 씨감자를 뽑아가는 자

1화에서 우리는 말했었다.
“미래를 위한 씨앗을 지금 다 삶아 먹고 있다.”
그런데 2화에선 더 나아간다.

이제는 남이 숨겨둔 씨감자마저 훔쳐가고,
그걸 묻으려는 자를 ‘침묵 속에서’ 제거하는 킬러가 등장한다.

 
우리는 지금
몰입의 씨앗을 지키기도 어렵고,
지키려는 사람마저 ‘비효율적인 존재’로 제거당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화장실 문이 열린 자리, 사라진 존재 – 남은 건 흙에 묻힌 씨감자 하나
“열린 문. 아무도 없는 공간. 바닥엔 흙에 묻힌 씨감자 하나만이 조용히 남아 있다.”

🎯 마무리 질문

당신이 키우는 씨앗을,
누군가 화장실에서 몰래 제거해버리는 건 아닌가요?

그리고, 그 킬러를 당신은 믿을 수 있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