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증 현상학적 측면에서

신뢰가 사라진 사회 – 성평등 이후, 무엇이 무너졌는가

반응형

성평등 이후, 우리는 아이와 신뢰를 잃었다. 무너진 건 권력인가 관계인가?

📚 이 글은 “신뢰의 해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우리가 평등이라는 이름 아래 무엇을 잃었는지를 되짚는 시리즈의 첫 번째 이야기입니다.


💥 대학교, 그 엘리베이터 앞에서

나는 오늘 모건대학교에서 우연히 한 장면을 목격했다.
젊은 여학생들이 엘리베이터 앞에서 나누는 이야기—그 속에는 사랑이 있었고, 설렘이 있었고, 아주 일상적인 농담이 있었다.
그 곁에는 중년의 여성 교수로 보이는 이가 함께 웃으며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하지만 그 순간, 내 안에서는 낯선 질문이 피어올랐다.

엘리베이터 앞에서 이야기하는 여학생들과 중년 여성 교수 – 성평등 이후 인간관계의 상징
실내 엘리베이터 앞에서 웃고 있는 여학생들과 여교수

“이제는, 여자로부터도 딸을 지켜야 하는 시대가 된 것 아닐까?”

예전에는 남자들로부터 아내를 지키는 일이었다면,
이제는 동성, 연령, 지위, 그 무엇도 성적 긴장의 예외가 되지 않는 사회가 되었다.


🧱 성평등의 역설 – 더 많은 자유는 더 큰 무질서가 되었다

한때 성평등은 억압된 여성의 권리를 해방시키기 위한 숭고한 이상이었다.
하지만 그 이름 아래, 경계가 무너지고, 긴장이 무너지며, 신뢰의 토대가 붕괴되기 시작했다.

  • 가정은 더 이상 안전한 공간이 아니다.
  • 연애와 결혼은 더 이상 예측 가능한 관계가 아니다.
  • 사제지간·동성 간·나이차 관계조차 이제는
    성적 긴장의 변수에서 자유롭지 않다.

그 결과, 우리는 누구도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사회에 도달했다.
이것이 진정한 해방일까, 아니면 또 다른 형태의 무정부 상태일까?


📚 남녀칠세부동석 – 성리학은 정말 차별이었을까?

"남녀칠세부동석(男女七歲不同席)"
많은 이들이 이 문장을 성차별의 잔재로 치부한다.

그러나 성리학자들의 의도는 오히려 반대였다.

 

조용한 환경에서 학문에 몰두하는 어린아이 – 배움의 시기와 성리학의 보호 철학
고전 서책을 읽는 아이의 정적인 이미지 / 한옥에서 공부하는 모습

“이성의 눈이 뜨기 전에, 진리의 눈을 먼저 뜨게 하라.”

 

아이의 지적 감수성과 도덕적 성장에 있어
성적 긴장과 자극은 가장 치명적인 방해물이었다.
그래서 그들은 조심스러웠다.
그 짧고 순수한 시기만큼은, 지성과 인격을 다듬는 데 온전히 몰입하게 하려 했던 것이다.

오늘날은 어떠한가?

  •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젠더, 성적 다양성, 심지어는 장애인과의 성관계까지 이야기된다.
  •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아이에게
    ‘선택지’라는 이름의 혼란만을 제공하는 것이
    진정한 평등일 수 있는가? 12

💡 성적 감수성의 조기 개방은, 사유의 에너지를 소진시킨다

오늘날 아이들은 너무 이른 시기에
자극적인 성적 감수성에 노출된다.

  • 스마트폰, 유튜브, 틱톡을 통한 무분별한 성적 이미지
  • 공교육 시스템 속에서의 ‘조기 성교육’
  • '이해와 존중'이라는 이름으로 과잉된 젠더 메시지

그 결과:

  • 집중하지 못하는 아이들
  • 깊은 책을 읽지 못하는 청소년들
  • 생각이 아닌 반응만 하는 어른들

학문은 사라지고, 감정만이 남았다.
생각은 말라버리고, 자극만이 흐른다.

그리하여 우리는 ‘지식 기반 문명’이 아닌
‘감각 기반 소비 사회’에 살게 되었다. 34

디지털 자극에 휩쓸리는 아이들 – 사유보다 반응이 먼저인 시대
스마트폰에 몰입한 아이들


🔥 신뢰는 어디로 갔는가?

가정을 이루고, 교육을 하고, 국가를 운영하려면
가장 기본적으로 예측 가능성과 신뢰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은:

  • 배우자를 신뢰할 수 없다.
  • 교사를 신뢰할 수 없다.
  • 친구를, 동료를, 지도자를 신뢰할 수 없다.
  • 심지어 부모와 자식 간조차도 절대적인 신뢰는 보장되지 않는다.

 

우리는 이 모든 것을
"자유"라는 이름으로 교환한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신뢰 없는 자유였고, 경계 없는 권리였다.


🧭 결론 – 인간관계는 더 이상 예측할 수 없는 전장이 되었다

각자의 디지털 공간에 고립된 가족 – 신뢰가 사라진 현대 인간관계의 단면
서로 등을 지고 스마트폰만 보는 가족 구성원들

이제 우리는
누구에게도 완전히 마음을 열 수 없고,
어떤 관계에서도 완전히 안심할 수 없다.

  • 연애는 계약이 되었고,
  • 결혼은 불신의 동맹이 되었고,
  • 부모는 통제 대상이 되었고,
  • 아이는 자기 권리의 전사로 양육된다.

성평등은 법적 권리만이 아니라
관계의 해체를 촉진하는 촉매가 되었다.


✍️ 나는 이렇게 묻고 싶다

정말 이것이 우리가 꿈꾸던 평등인가?
정말 이것이 아이들에게 물려줄 인간관계의 미래인가?


우리는 지금 전면적 재질문이 필요한 시대에 와 있다.

그리고 그 질문을 누군가는 해야 한다.
지금 말하지 않으면, 아무도 말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 참고자료 및 인용 문헌

1 한국교육개발원(KEDI), 「초등학교 성교육 정책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2019.
🔗 보고서 보기

2 양순옥, 「초등학교 저학년 교과서의 성교육 내용 분석」, 『아동교육』 제13권 제4호, 2004.
🔗 KCI 학술정보

3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Media and Young Minds, Pediatrics, Vol. 138, No. 5, 2016.
🔗 원문 보기

4 Kirkorian HL, Wartella EA, Anderson DR. Media and Young Children’s Learning, The Future of Children, 2008.
🔗 PDF 다운로드

📌 다음 편 예고

《2편: 한강과 노벨문학상 – 감정만 남은 문학은 인류를 이끄는가 》다음주 화요일.

👉 서구 문학이 상징하는 가치 전도의 진실과, 우리가 놓친 ‘문학의 존재 이유’를 함께 묻습니다.


반응형